-
옵션 처리spring/스프링 핵심 원리 강의 내용 정리 2023. 12. 11. 13:22
옵션 처리
- 주입할 스프링 빈이 없어도 동작해야 할 때가 있다
그런데 @Autowired 만 사용하면 required 옵션의 기본값이 true 로 되어 있어서 자동 주입 대상이 없으면
오류가 발생한다
자동 주입 대상을 옵션으로 처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
- @Autowired(required=false) : 자동 주입할 대상이 없으면 수정자 메서드 자체가 호출 안됨
- org.springframework.lang.@Nullable : 자동 주입할 대상이 없으면 null이 입력된다
- Optional<> : 자동 주입할 대상이 없으면 Optional.empty 가 입력된다테스트 해보자
Member는 스프링 빈에 등록하지 않은 아무 상관없는 객체이다
그러니 당연히 null 이 들어갈 것이고, 3개의 메서드 모두 에러가 나지 않는 모습이다
위에서 말했듯, 기본값은 required = true 이기 때문에, 지우거나 true로 변경하면 1번 메서드에서 에러가 난다
또한 세 메서드의 차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
1번 메서드는 아예 호출이 되지 않은 모습
2번 메서드는 호출이 되어 null 이라는 값을 출력한 모습
3번 메서드는 호출이 되어 Optional.empty 를 출력했다
나중에 이 차이를 기반으로 어떤 옵션처리를 선택할지 고민해 볼 기회가 있을 것 같다
'spring > 스프링 핵심 원리 강의 내용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롬복과 최신 트렌드 (0) 2023.12.11 생성자 주입을 선택해라 (0) 2023.12.11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 (0) 2023.12.10 중복 등록과 충돌 (0) 2023.12.09 필터 (0) 2023.12.09